마법사 상어와 파이어스톰
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과 토네이도를 조합해 파이어스톰을 시전할 수 있다. 오늘은 파이어스톰을 크기가 2N × 2N인 격자로 나누어진 얼음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얼음의 양을 의미한다. A[r][c]가 0인 경우 얼음이 없는 것이다.
파이어스톰을 시전하려면 시전할 때마다 단계 L을 결정해야 한다. 파이어스톰은 먼저 격자를 2L × 2L 크기의 부분 격자로 나눈다. 그 후, 모든 부분 격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후 얼음이 있는 칸 3개 또는 그 이상과 인접해있지 않은 칸은 얼음의 양이 1 줄어든다. (r, c)와 인접한 칸은 (r-1, c), (r+1, c), (r, c-1), (r, c+1)이다. 아래 그림의 칸에 적힌 정수는 칸을 구분하기 위해 적은 정수이다.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스톰을 총 Q번 시전하려고 한다. 모든 파이어스톰을 시전한 후, 다음 2가지를 구해보자.
-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
- 남아있는 얼음 중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
얼음이 있는 칸이 얼음이 있는 칸과 인접해 있으면, 두 칸을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덩어리는 연결된 칸의 집합이다.
입력
첫째 줄에 N과 Q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2N개의 줄에는 격자의 각 칸에 있는 얼음의 양이 주어진다. r번째 줄에서 c번째 주어지는 정수는 A[r][c] 이다.
마지막 줄에는 마법사 상어가 시전한 단계 L1, L2, ..., LQ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아있는 얼음 A[r][c]의 합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가장 큰 덩어리가 차지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단, 덩어리가 없으면 0을 출력한다.
제한
- 2 ≤ N ≤ 6
- 1 ≤ Q ≤ 1,000
- 0 ≤ A[r][c] ≤ 100
- 0 ≤ Li ≤ N
풀이
주어진 L에 따라 회전시켜야 하는 격자의 크기가 달라진다.
회전시키는 것을 구현하는 게 가장 골치 아팠다.
주어진 L에 맞춰 회전을 마치고 나면 BFS로 가장 넓은 덩어리를 계산했다.
테스트 케이스가 계속 맞지 않아서 뭐가 틀렸는지 계속 찾아봤다...
몇 시간 만에 눈치챈 것은 얼음이 동시에 녹아 야하기 때문에 녹을 좌표를 저장했다가 탐색이 끝난 후 감소시켜줘야 한다.
그리고 L = 0 일 때는 격자의 크기가 1 X 1 이므로 회전하지 않은 것과 같다.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board[64][64];
int n, q, r, lq[1000];
bool isOut(int x, int y) {
if (x >= r || y >= r || x < 0 || y < 0)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int pow2(int i) {
int num = 1;
while (i != 0)i--, num *= 2;
return num;
}
void input() {
cin >> n >> q;
r = pow2(n);
for (int x = 0; x < r; x++) {
for (int y = 0; y < r; y++)cin >> board[x][y];
}
for (int i = 0; i < q; i++)cin >> lq[i];
}
void firestorm(int range) {
int temp[64][64];
for (int x = 0, y = 0; x < r;) {
//rotate
int row = x + range;
int col = y + range;
for (int i = 0; i < range; i++) {
for (int j = 0; j < range; j++) {
temp[x+j][y+range - i - 1] = board[x + i][y + j];
}
}
y += range;
if (y == r)x += range, y = 0;
}
//copy
for (int x = 0; x < r; x++) {
for (int y = 0; y < r; y++) {
board[x][y] = temp[x][y];
}
}
}
int dx[4] = { -1, 1, 0 ,0 };
int dy[4] = { 0, 0, -1, 1 };
void melt() {
queue<pair<int, int>> q;
for (int x = 0; x < r; x++) {
for (int y = 0; y < r; y++) {
int ccnt = 0;
for (int z = 0; z < 4; z++) {
int nx = x + dx[z];
int ny = y + dy[z];
if (isOut(nx, ny))continue;
else if (board[nx][ny] > 0)ccnt++;
}
if (ccnt < 3 && board[x][y] != 0)q.push({ x,y });
}
}
while (!q.empty()) {
int x = q.front().first;
int y = q.front().second;
q.pop();
board[x][y]--;
}
}
int sums() {
int sum = 0;
for (int x = 0; x < r; x++) {
for (int y = 0; y < r; y++) {
sum += board[x][y];
}
}
return sum;
}
bool visit[64][64];
int mass() {
int result = 0;
queue<pair<int, int>> q;
for (int x = 0; x < r; x++) {
for (int y = 0; y < r; y++) {
if (board[x][y] == 0) {
visit[x][y] = true;
continue;
}
if (visit[x][y])continue;
int ccnt = 0;
q.push({ x,y });
visit[x][y] = true;
while (!q.empty()) {
int cx = q.front().first;
int cy = q.front().second;
q.pop();
ccnt++;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cx + dx[i];
int ny = cy + dy[i];
if (visit[nx][ny] || isOut(nx, ny))continue;
visit[nx][ny] = true;
if (board[nx][ny] > 0) q.push({ nx, ny });
}
}
if (result < ccnt)result = ccnt;
}
}
return result;
}
void solve() {
int sum = 0, m;
//round L
for (int l = 0; l < q; l++) {
firestorm(pow2(lq[l]));
melt();
}
sum = sums();
m = mass();
cout << sum << "\n" << m;
}
int main() {
input();
solve();
}
'알고리듬 >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20057 (1) | 2023.11.15 |
---|---|
[baekjoon] 20056 (7) | 2023.11.09 |
[baekjoon] 21608 (1) | 2023.10.19 |
[baekjoon] 24525 (1) | 2023.06.29 |
[baekjoon] 2240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