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듬/문제 44

[baekjoon] 7579

앱 문제 우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여러 가지 앱(App)을 실행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화면에 보이는 ‘실행 중’인 앱은 하나뿐이지만 보이지 않는 상태로 많은 앱이 '활성화'되어 있다. 앱들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것은 화면에 보이지 않더라도 메인 메모리에 직전의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재 실행 중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메모리에 남겨두는 이유는 사용자가 이전에 실행하던 앱을 다시 불러올 때에 직전의 상태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여 실행 준비를 빠르게 마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메모리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번이라도 실행했던 모든 앱을 활성화된 채로 메인 메모리에 남겨두다 보면 메모리 부족 상태가 오기 쉽다. 새로운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스마트폰의 운영..

알고리듬/문제 2023.05.14

[baekjoon] 13904

과제 문제 웅찬이는 과제가 많다. 하루에 한 과제를 끝낼 수 있는데, 과제마다 마감일이 있으므로 모든 과제를 끝내지 못할 수도 있다. 과제마다 끝냈을 때 얻을 수 있는 점수가 있는데, 마감일이 지난 과제는 점수를 받을 수 없다. 웅찬이는 가장 점수를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과제를 수행하고 싶다. 웅찬이를 도와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입력 첫 줄에 정수 N (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각 두 정수 d (1 ≤ d ≤ 1,000)와 w (1 ≤ w ≤ 100)가 주어진다. d는 과제 마감일까지 남은 일수를 의미하며, w는 과제의 점수를 의미한다. 출력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7 4 60 4 40 1 20 2 50 3 30 ..

알고리듬/문제 2023.05.13

[programmers] 코딩 테스트 공부

문제 설명 당신은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과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은 알고력,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은 코딩력이라고 표현합니다. 알고력과 코딩력은 0 이상의 정수로 표현됩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가 요구하는 일정 이상의 알고력과 코딩력이 필요합니다.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알고력과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여야 합니다.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알고력을 높이기 위해 알고리즘 공부를 합니다. 알고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코딩력을 높이기 위해 코딩 공부를 합니다. 코딩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현재 풀 ..

알고리듬/문제 2023.05.10

[programmers] 두 큐 합 같게 만들기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가 주어집니다. 하나의 큐를 골라 원소를 추출(pop)하고, 추출된 원소를 다른 큐에 집어넣는(insert) 작업을 통해 각 큐의 원소 합이 같도록 만들려고 합니다. 이때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구하고자 합니다. 한 번의 pop과 한 번의 insert를 합쳐서 작업을 1회 수행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queue1, queue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어떤 방법으로도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 수 없는 경우,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사항 1 ≤ queue1의 길이 = queue2의 길..

알고리듬/문제 2023.05.09

[programmers] 성격 유형 검사하기

문제 설명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지표 번호성격 유형 1번 지표 라이언형(R), 튜브형(T) 2번 지표 콘형(C), 프로도형(F) 3번 지표 제이지형(J), 무지형(M) 4번 지표 어피치형(A), 네오형(N) 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2 x 2 x 2 x 2)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FMN"이나 "TCMA"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네오형 ..

알고리듬/문제 2023.05.08

[baekjoon] 5573

산책 문제 상근이는 건강을 위해 산책을 하려고 한다. 상근이가 사는 마을은 아래 그림과 같이 가로 방향 도로가 (H+1)개, 세로 방향 도로가 (W+1)개가 바둑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근이네 집은 가장 왼쪽 위 교차로에 있으며, 이곳에서 산책을 시작한다. (a,b)는 위쪽에서 a번째, 왼쪽에서 b번째에 있는 교차로이다. 예를 들어, 상근이네 집은 교차로 (1,1)에 있다. 상근이는 산책 경로가 매일 달라야 질리지 않고 산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1,1)에서 (H,W)까지 H × W개 교차로에 오른쪽을 뜻하는 오 또는 아래를 뜻하는 아를 쓰고,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서 산책을 하기로 했다. 교차로에 쓰여 있는 문자가 오라면, 이 문자를 지우고 아를 쓴다. 그 다음에 오른쪽으로 진행..

알고리듬/문제 2023.05.05

[baekjoon] 17835

면접보는 승범이네 문제 마포구에는 모든 대학생이 입사를 희망하는 굴지의 대기업 ㈜승범이네 본사가 자리를 잡고 있다. 승범이는 ㈜승범이네의 사장인데, 일을 못 하는 직원들에게 화가 난 나머지 전 직원을 해고하고 신입사원을 뽑으려 한다. 1차 서류전형이 끝난 뒤 합격자들은 면접을 준비하게 되었다. 면접자들은 서로 다른 N개의 도시에 거주한다. 승범이는 면접자들의 편의를 위해 거주 중인 N개 도시 중 K개의 도시에 면접장을 배치했다. 도시끼리는 단방향 도로로 연결되며,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어떤 두 도시 사이에는 도로가 없을 수도, 여러 개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도시에서든 적어도 하나의 면접장까지 갈 수 있는 경로가 항상 존재한다. 모든 면접자는 본인의 도시에서 출발하여 가장 가까운 면접장으로..

알고리듬/문제 2023.05.04

[baekjoon] 1655

가운데를 말해요 문제 백준이는 동생에게 "가운데를 말해요" 게임을 가르쳐주고 있다. 백준이가 정수를 하나씩 외칠 때마다 동생은 지금까지 백준이가 말한 수 중에서 중간값을 말해야 한다. 만약, 그동안 백준이가 외친 수의 개수가 짝수개라면 중간에 있는 두 수 중에서 작은 수를 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백준이가 동생에게 1, 5, 2, 10, -99, 7, 5를 순서대로 외쳤다고 하면, 동생은 1, 1, 2, 2, 2, 2, 5를 차례대로 말해야 한다. 백준이가 외치는 수가 주어졌을 때, 동생이 말해야 하는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백준이가 외치는 정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그다음 N 줄에 걸쳐서 백준이가 외치..

알고리듬/문제 2023.05.03

[baekjoon] 18223

민준이와 마산 그리고 건우 문제 종강을 맞은 민준이는 고향인 마산으로 내려갈 계획을 짜고 있었다. 늘 그랬듯, 마산으로 갈 버스를 예약하려던 순간 민준이는 집으로 가는 다른 방법이 떠올랐다. 그것은 직접 지도를 보고 고향으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을 찾는 것이다. 그때, 먼저 고향으로 내려갔던 친구인 건우에게 연락이 왔다. 건우는 고향으로 내려가던 중 알 수 없는 일에 휘말려 외딴곳에 혼자 남겨지게 되었다. 건우는 유일한 구세주인 민준이에게 도움을 청한 것이었다. 그러나 마산의 남자인 민준이에게는 마산이 먼저였다. 민준이는 처량한 건우를 무시한 채 고향으로 떠나려고 했지만, 만약 고향으로 가는 길에 건우가 있다면 겸사겸사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지도는 양방향 그래프 형태로 되어있다. 출발지는 1번 ..

알고리듬/문제 2023.05.01

[baekjoon] 2001

보석 줍기 문제 n(1 ≤ n ≤ 100)개의 섬이 m(1 ≤ m ≤ 1,000)개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다리는 서로 다른 두 섬을 연결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두 섬은 최대 한 개의 다리로만 직접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다리들의 튼튼한 정도는 서로 달라서, 각각의 다리마다 견딜 수 있는 무게의 제한이 다를 수 있다. 섬들 중, K(1 ≤ K ≤ 14)개의 서로 다른 섬에 각각 한 개씩 보석이 있다. 당신은 1번 섬에서 빈손으로 출발하여 최대한 많은 보석을 줍고 1번 섬으로 돌아오려 한다. 주의할 것은, 보석을 너무 많이 줍다 보면 다리를 건널 때 다리가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당신은 다리가 무너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석을 주워야 한다. 한 번 지난 적이 있는..

알고리듬/문제 2023.04.28